"실수는 제가 다했으니, 여러분은 따라만 하세요." 구글 블로그 개인 도메인 연결 (feat. 호스팅케이알)
안녕하세요, 비츠입니다! 좋은 도메인 서비스를 찾다 보면 고민되는 게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. 여러 호스팅 서비스를 비교하다가 호스팅케이알(Hosting.kr)을 선택했는데, 가격도 저렴하고 국내 서비스라서 사용하기 편리하더라고요.
하지만 막상 구글 블로그(Blogger)와 연결하려고 하니, 처음에는 좀 헷갈리는 부분이 많았습니다. 더구나 설명을 보면서 해도 유의할 점을 몰라서 잘된건지 못된건지 몰라 손댔다가 더 엉망이 되고 고생을 했습니다. 제가 실수는 다했으니 여러분은 실수 하지 마세요.
이 글에서는 도메인 구매부터 DNS 설정, 블로거에서 SSL(HTTPS)까지 적용하는 과정을 최대한 상세하게 정리했습니다. 혹시 중간에 어려운 부분이 있더라도 천천히 읽어보시면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. 그럼 집중하시고, 시작하겠습니다! 😊
1. 호스팅케이알에서 도메인 구매 및 기본 설정
① 호스팅케이알에서 도메인 구매하기
먼저, 사용할 도메인을 구매해야 합니다. 도메인은 웹사이트의 주소와 같기 때문에,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호스팅케이알(Hosting.kr) 사이트에 접속합니다.
- 원하는 도메인을 검색하여 사용 가능한지 확인합니다.
- 마음에 드는 도메인을 선택하고 결제하여 구매를 완료합니다.
- 구매 후 "내 도메인 관리" 페이지에서 도메인이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② 네임서버 확인 및 변경 (필요 시)
네임서버는 도메인이 어떤 서버를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설정입니다. 기본적으로 호스팅케이알의 네임서버를 사용하면 됩니다. 하지만 다른 네임서버(예: Cloudflare, AWS Route53)를 사용하고 싶다면 도메인 관리 > 네임서버 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.
구글 블로그를 연결하는 데 네임서버 변경은 필요하지 않으므로, 기본 설정 그대로 진행하면 됩니다.
저는 이걸 몰라서 여기저기 검색을 하느라 시간을 많이 썼습니다 ㅠㅠ
2. 구글 블로그(Blogger)에서 사용자 지정 도메인 추가
① 블로그 관리 페이지 접속하기
- Blogger(블로거)에 로그인합니다.
- 왼쪽 메뉴에서 "설정"을 클릭합니다.
- "게시" > "맞춤 도메인"을 클릭합니다.
② 도메인 입력 및 CNAME 값 확인하기
- "맞춤 도메인" 입력란에 연결할 도메인을 입력합니다.
- 예:
www.example.com
(반드시www.
포함)
- 예:
- 입력 후 "저장" 버튼을 누르면, "CNAME 레코드를 추가하세요"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.
- 두 개의 CNAME 값이 표시됩니다.
- 첫 번째 CNAME:
www
→ghs.google.com
- 두 번째 CNAME(고유값): 무작위 문자열 → 또 다른 무작위 값
- 첫 번째 CNAME:
이제 이 CNAME 정보를 호스팅케이알의 DNS 설정에 추가해야 합니다.
3. 호스팅케이알에서 DNS 레코드 설정
① 호스팅케이알 DNS 관리 페이지 이동하기
- 호스팅케이알 사이트에 로그인합니다.
- 상단 메뉴에서 "나의 서비스" > "도메인"을 클릭합니다.
- 연결할 도메인을 선택하고, "네임서버/DNS"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② CNAME 레코드 추가하기
- "새 레코드 추가"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아래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합니다.
유형 | 호스트(이름) | 값(대상) |
---|---|---|
CNAME | www | ghs.google.com |
CNAME | abcd1234 (무작위 문자열) | gv-abcdef.googlehosted.com (또 다른 무작위 값) |
③ A 레코드 추가 (루트 도메인 연결)
루트 도메인(example.com
)을 www.example.com
으로 리디렉트하려면 A 레코드도 추가해야 합니다.
유형 | 호스트(이름) | 값(대상) |
---|---|---|
A | @ | 216.239.32.21 |
A | @ | 216.239.34.21 |
A | @ | 216.239.36.21 |
A | @ | 216.239.38.21 |
설정 후 수 십분 기다립니다.
뭔가 다른 생각이나 의심하지 마시고, 머리 비우시고 그냥 위 내용대로 하시면 아무 문제 없어요!
딱 저 모양 그대로 다 하세요! 잘못하면 피곤해집니다. 저도 알고 싶지 않았어요...
4. 블로거에서 도메인 소유권 확인 및 SSL 설정
① 도메인 소유권 확인하기
- 다시 Blogger 설정 > 맞춤 도메인으로 이동합니다.
- "저장"을 다시 시도합니다.
- CNAME과 A 레코드를 정확히 입력했다면, 정상적으로 저장됩니다.
② HTTPS(SSL) 설정하기
- Blogger > 설정에서 HTTPS 사용 설정을 찾아 활성화합니다.
- SSL 적용까지 수시간 소요될 수 있습니다.
- 완료 후
http://example.com
이 아닌 **https://example.com
**으로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합니다.
저도 알고 싶지 않았어요...(2)
5. 도메인 연결 확인 및 문제 해결
① 정상 연결 확인하기
- 웹브라우저에서
https://www.example.com
입력 후 접속해봅니다. - 정상적으로 연결되면, 블로거의 기본
blogspot.com
주소 대신, 사용자 지정 도메인이 표시됩니다.
② 연결이 안 될 경우 확인할 사항
- DNS 레코드 변경 후 최대 48시간 지나서 반영될 수 있음.
- CNAME 및 A 레코드를 정확하게 입력했는지 확인.
- SSL 설정 후 HTTPS 접속이 안 된다면? → Blogger에서 SSL을 다시 껐다가 켜보세요.
결론 및 마무리
이제 도메인 연결이 완벽하게 완료되었습니다! 🎉 처음엔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, 하나하나 따라 하면 누구나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.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나만의 도메인을 사용하면 더욱 깔끔하고 신뢰감 있는 사이트를 만들 수 있어요.
도메인을 등록하고 최대 48시간은 접속이 안될 수 있으니, 참을성을 가지고 기다려 보세요! 저는 해당 내용을 모르고 뭔가 잘못되었나해서 이리저리 손댔다가 많은 시간을 고생했습니다ㅠ 실수는 제가 했으니 여러분은 저대로 행하시기만 하면 됩니다 :)
이제 여러분의 블로그도 자신만의 멋진 도메인으로 연결해보세요! 🚀😊